셰익스피어의 십이야를 우리 식으로 바꿔놓은 극.


굉장히 유쾌한 마당극이었다.

셰익스피어의 십이야를 본 적이 없으니 원래 연극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이 연극으로 봐서는 서양연극이라는 생각이 전혀 안 든다.


제일 큰 활약을 보여줬던 것은 패랭이.꼭두서니.(이래서 이름은 맨날 보는데 이름이 따로 안 나왔어..ㅜ.ㅜ)

그는 전형적인 이야기꾼.

배우와 이야기를 서술하는 서술자이기도 하고, 어느 새 이야기의 등장인이 되기도 하고.

우리 형식으로 바꾸는 판소리, 연극, 마당극 등을 보면 느끼는 거지만, 

이 화자의 역할이 참 중요하더라.

더군다나 그 화자가 일정하게 가는 적도 없다.

일인 다역을 소화해내고, 극의 분위기를 띄우고 잡아간다.


이 마당극 "십이야" 역시 그런 연극.


다만 독특한 점은 이 배우들이 모두 남자라는 것.

여자 역마저 남자가 한다. 

그럼에도 위화감이 느껴지지 않는다.

얼굴이 예쁘지도 않고, 여자 목소리도 아닌데 말이지.

심지어는 홍가시는 남자역할마저 해야 한다.

남자가 여자배우 역을 하고, 거기서 다시 남장을 한다라..

생각해보니 이런 아이러니가.^^


그런데 참 선이 곱다.

동작이나 행동 하나하나가 여자 느낌을 준다.

손끝 동작, 걷거나 말하는 행동 하나하나가.


배경은 그저 뒤에 있는 하나의 막.

그럼에도 허전하다는 생각은 전혀 안 든다.

마당극 자체가 이야기로 끌어나가는 것이기도 하지만, 배우들의 연기나 행동이 그 무대를 떠올릴 수 있게 한다.

굉장히 예뻤던 장면은, 산자고가 절망을 하고, 뛰어내리려 하고, 그걸 말리는 홍가시가 자신의 마음을 고백하는 장면.

순간 정지동작으로 그림자가 뒤의 막과 절묘하게 어울려 노을에 비친 그림자의 느낌을 줬다.


이런 무대가 참 좋다. 

꽉 차지 않고, 비어 있지만, 정말 중요할 때 그 효과를 극대화시키는 무대가.


또 하나 인상적이었던 것은 마당극이라는 것.

그저 연극이 아니라 마당극이고 생각한 건, 적극적으로 관객을 끌어당기고 있어서이다.

사실 적극적으로 뭔가 반응하는 것은 부담스러운 경우가 많은데,

이렇게 자연스럽게 반응할 수 밖에 만드는 극이 참 좋았다.

심지어는 관객이 포졸역할하는 장면까지.^^

더군다나 그 날 관객들이 감정까지 넣어서 연극하더라. 그래서 더 연극에 빠져들었다.


보면서 계속 배우들의 손 동작을 생각했다.

몸짓도...

왜 이렇게 가볍고, 둥근지.

통통 튀면서, 가볍고, 손끝이 둥그렇게 돌아간다.

모난 느낌이 들지 않는다.

그래서 그런 걸까? 이런 분위기의 연극이 더 잘 어울리는 건.


사실 보고 나서 이 극단이 하는 한 여름밤의 꿈도 보고 싶었다.

너무 늦게 봤다는 것이 안타까울 뿐.

그래도 나중에 페르귄트 이야기를 이 극단이 한다고 해서 그것을 예매하긴 했지만.


이야기도 좋고, 표현방식도 참 좋고.


보는 내내 웃어댔다.^^

'공연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댄스레슨, 천상시계  (0) 2012.09.11
8/25 쥐덫  (0) 2012.08.31
필로우맨  (0) 2012.08.23
8/16 형제는 용감했다  (0) 2012.08.22
형제는 용감했다 간단한 감상  (0) 2012.08.15



사진 출처 : http://www.playdb.co.kr


확실히 이야기가 이해하기가 쉽다.

지난 번 무용극에 비해 이해도 잘 되고, 그만큼 감동도 받고.



줄거리 : 

바람처럼 떠돌던 유랑단이 판을 벌이고 이야기를 풀어 놓기 시작한다.
술주정뱅이 엄마와 노름꾼 아버지 사이에서 등이 붙은 샴쌍둥이가 태어난다. 매정한 부모는 이들을 내새워 빌어먹다 궁지에 몰리자 서커스단에 팔아넘기려고 한다. 이이야기를 듣게 된 쌍둥이는 올라가면 등을 떼어낼 수 있다는 신비한 칼바람 낭떠러지를 향해 몰래 도망을 가는데...
그들은 과연 뒤를 쫒는 매정한 부모들을 따돌리고 목적지에 무사히 도착할 수 있을까.



입장부터 참 인상적이었다.

관객석의 입구에서 유랑단이 악기를 연주하면서 등장한다.

그렇게 관객들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이야기는 유랑단의 두 배우가 관객들에게 이야기를 들려주는 형식으로 시작한다.


음악은 국악기들 사이에 서양악기들을 섞었다.

그러면서도 굉장히 잘 어울리더라. 그 유랑음악단에서 들리는 그 아코디언의 처량한 음악도 그렇고,

중간중간 꽹과리, 장구, 북 등의 타악기가 참 잘 어울리고.

특히 북을 사용한 소도구의 활용이 인상적이었다.

북에 빨간 점 두개, 한 개를 붙여놓고, 지개 위에 설치했다가 내렸다 하면서 

아버지, 어머니, 지게 등등의 다양한 활용도 그렇고.


이야기는 마치 잔혹동화같다.

부모는 아이들을 어찌하면 이용해먹을까 궁리하고

샴쌍둥이 남매는 도망가려다 누나는 동생을 잘못해 죽이고, 그 동생은 뒤에서 심지어는 썩어가고,

그 와중에 아비는 돈에만 멀어있지.


그럼에도 이상한 건 이야기가 잔인해... 하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옛날 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한 배우들의 말투때문일까.

그런 잔인한 이야기임에도 증오, 미움이 느껴지지 않기 때문일까.


간혹가다 한국적인 이야기. 라는 이야기를 들을 때 공통된 느낌은 

신기하게도 미움, 복수가 담겨져 있지 않다는 거다.

서편제도 그렇지, 이 이야기도 그렇지,

지난 번의 무용극 이야기에서도 기가 차고 배신감을 느끼고 떠날지언정 증오가 담겨 있지 않다는 것.


이 이야기의 결말도 그렇다.

구걸하는 어미의 모습을 보고 싸대기를 후려치고 싶은 마음도 쥐똥만큼 있고, 

안고 위로하고 싶은 마음 역시 쥐똥만큼 있고..

이렇게 이야기하다가 

"따뜻한 햇빝 속으로 유유히 사라졌다."로 이야기를 맺고 있다.


미워하면 뭐할건가,

불쌍히 여기면 뭐할 건가.

이미 인연은 끝난 것.

이제 자신의 인생을 살아가기로 선택한 느낌이 드는 결말이었다.


보면서 웃기도 하고 울기도 하고.

그래서 이야기의 힘이란게 대단하다 싶다.


다 보고 나서 이런 공연이 더 많았으면 싶다.

그리고 만약 이 공연을 더 많이 하게 되면 보다 이야기를 전달하는 배우의 힘도 커질 것 같고.


뮤지컬 같은 공연을 보면 초연과 나중에 공연이 거듭될수록 전달되는 힘이나 연기의 느낌이 더욱 더 좋아지는 경우가 많다.

사실 이 극을 보면서 그런 느낌을 많이 받았다.

이 극을 연기하는 사람들이 전문 연극배우가 아니기 때문에 받는 그런 느낌.


말로 참 표현하기가 그런데 못했다는 게 아니라 반복공연을 할수록 다듬어지는 그런 느낌을 받고 싶다고 할까?

더욱 더 멋져질 수 있는 공연이란 느낌을 받아서 말이다.


유랑단의 형식을 빌어서 그런지 관객들의 호응도 얻기도 쉬웠고,

보는 우리도 이게 국악극이지, 하는 그런 느낌이 들어 더욱 즐거웠고.


정말 좋은 공연이었다.

나중에 다시 한 번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012



'공연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랙메리포핀스  (0) 2012.07.25
7/21 형제는 용감했다  (0) 2012.07.23
모범생들  (0) 2012.07.21
우먼 인 블랙  (0) 2012.07.19
7/14 형제는 용감했다.  (0) 2012.07.15

+ Recent posts